반응형 전체 글322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구분하기_부동산 용어 (428번) 취득세 보유세 양도소득세는 부동산 관련해서 가장 관심이 있는 세금의 종류입니다. 이 3가지 과세는 부동산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서 부과하게 되는데 크게 부동산을 얻었을 때는 취득세, 보유하고 있다면 보유세, 부동산을 처분할 때는 양도소득세를 납부합니다. 일단 위 세금들은 부동산과 관련되어있는 세금이고 부동산 거래 가격이나 시세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어림잡아도 적지 않는 세금인 것은 분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취급부터 처분까지 납부해야하는 세금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부동산 관련 정보는 아래의 포스팅에서 먼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재건축과 재개발의 차이점 재건축과 재개발이라는 용어는 공동주택을 다시 짓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의미로 예상이 되지만 실제로는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2022. 3. 15. 입주권 분양권 차이점_주택수 (427번) 입주권 분양권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두 용어 모두 새로운 아파트에 입주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누구에 따라서 어떻게에 따라서 구분이 됩니다. 그리고 입주권과 분양권은 세부적으로 그 권리에 대한 인정과 절차, 관련 세금들이 서로 달라서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입주권과 분양권은 재개발이나 재건축 아파트와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입주권과 분양권이 다르듯 재개발과 재건축은 새로운 아파트를 짓는 것으로 동일한 사업으로 보이지만 명확하게 성격이 다른 사업입니다. 재건축과 재개발의 차이점 재건축과 재개발이라는 용어는 공동주택을 다시 짓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의미로 예상이 되지만 실제로는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부동산 거래 시 우리가 사는 지역이나 아파트가 재건축 hit12rest14.t.. 2022. 3. 14. LTV(주택담보인정비율)과 DTI(총부채상환비율) 간단정리 (426번) LTV(주택담보인정비율)과 DTI(총부채상환비율)은 부동산 거래나 청약 시 대출이 필요한 경우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용어들입니다. 왜냐하면 정부의 부동산 가계대출의 규제를 이 두 가지를 통해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도 LTV와 DTI 기준은 이전과는 다를 것입니다. 왜냐하면 정부의 부동산 과열이나 부동산 투자를 막기 위해서 항상 새로운 규제와 기준을 내리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규제의 의미를 파악해보고, 현재 대출 기준은 최신 뉴스를 통해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LTV (주택담보인정비율) LTV와 DTI는 대출에 관련한 용어입니다. 하지만 하나는 대출 능력의 평가이고 다른 하나는 대출에 대한 담보에 관한 용어입니다. 먼저 LTV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LTV는 한.. 2022. 3. 13. 채권 채무 관계_채권의 종류_채무불이행이란? (425번) 채권 채무 관계와 채무불이행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채권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채권의 종류도 어려가지고 있고 채권과 반대되는 채무라는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려고합니다. 그리고 채무불이행와 불완전이행, 이행지체 등 다양한 채권과 채무관련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채권자와 채무자는 서로 반대에 있는 사람인것은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관련된 다양한 용어와 의미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종류와 관련 법령까지 자세하게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포스팅 내 링크나 영상자료를 활용하면 보다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채권 채무 채권자와 채무자는 계약 관계에 놓인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지만, 어떤 의무가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채권과 채무는 돈을 빌리는.. 2022. 3. 11. 다운계약서 처벌과 업계약서 대출 처벌 (424번) 다운계약서와 업계약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다운계약서와 업계약서라는 말을 제일 많이 듣게 되는 경우가 뉴스와 같은 미디어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정상적인 계약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계약서는 거래 사실 그대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거래 가격을 낮추어서 작성하거나 거래 가격을 높여서 작성하는 경우는 정확하게 불법 행위이고 그렇게 작성된 계약서는 불법계약서가 되는 것입니다. ▼ 이렇게 불법적으로 계약서를 작성하는 이유는 별도의 편익을 취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제안을 해서도 제안을 수용해서도 안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불법계약서인 다운계약서와 업계약서에 대해서 알아보고 허위 거래가 적발될 경우 받는 처벌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불법계약서 작성하는 이유 다운계약서와 업계약서 처.. 2022. 3. 10. 담보권, 저당권, 지상권 차이점 총정리 (423번) 담보권, 저당권, 지상권은 부동산의 권리를 칭하는 용어입니다. 부동산에서는 소유권과 같이 여러 가지 권리가 있습니다. 그중 채무에 관련된 권리가 있는데 대부분 부동산 거래 시 거래 대금 일부를 채무하여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이중 우리의 실생활과 관련된 담보권, 저당권, 지상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부동산은 물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돈을 빌려서 사용하는 경우 부동산 자체를 담보하여서 채무를 실행하게됩니다. 그래서 그에 따른 권리 설정을 해야 하고 이렇게 설정한 권리는 부동산 등기부에 기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부동산 등기부를 복사한 서류를 부동산 등기부 등본이라고 합니다. ▼ 1. 담보권 담보권은 부동산 물권을 채권(채무)의 담보를 제공하는 권리입니다. 그래서 저당권과 혼동이 있을 수 있는데 이.. 2022. 3. 9.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연립주택 차이 422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연립 주택 등 주택별로 지칭하는 용어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의미상의 큰 구분 없이 사용하지만 부동산 거래 시에는 엄연히 구분이 되는 주택입니다. 한 건물에 다수의 세대가 거주하며 소유권 여부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적 규정으로는 다세대 주택과 연립주택은 차이가 있고 아파트에 대한 기준도 명확하게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별 개별 명칭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거주 세대에 따라서 주택을 구분하는 경우와 크기와 층수에 따라서 구분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은 거주 세대에 따라 구분됩니다. 말그대로 단독주택은 한 세대가 거주하는 1인 소유의 주택은 단독주택이라고 합니다... 2022. 3. 8. 용적률 건폐율 계산 산정용 연면적 부동산 용어 421 건폐율, 연면적, 용적률이라는 용어들은 부동산 거래 시 빠지지 않고 들리는 용어입니다. 부동산 계약을 하거나, 건축물대장을 확인할 때 눈여겨보아야 하는 것이고, 건축물의 면적을 의미하는 것인지 대지의 면적을 의미하는 것인지 혼동스러울 때도 있습니다. 건폐율, 용적률 등은 아파트 재건축 여부에도 많은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건폐율이 좋아서 괜찮다. 용적률이 이미 높아서 재건축 수익이 떨어질 것이다 라는 말을 자주 듣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폐율, 연면적, 용적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건폐율 건폐율은 대지 면적 대비 건축물의 면적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서 대지 면적이 100㎡이고 건축 면적이 60㎡이면 건폐율은 60%가 되는 것입니다. 대지면적 .. 2022. 3. 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