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MSCI 지수 완전정복, 한국은 신흥국지수, 선진국지수 편입 조건과 전망

by 대한민국의 2025. 4. 25.

 

글로벌 자산 배분 전략을 수립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 중 하나가 바로 모건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SCI) 지수입니다. 한국은 아직까지 MSCI 신흥국 지수에 포함되어 있는데요, 왜 선진국 지수로 승격되지 못하고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MSCI 지수의 개념부터 한국 기업의 편입 현황, 신흥국 지수와 선진국 지수의 차이점, 그리고 한국의 선진국 편입 추진 현황까지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포스팅 중간에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꼭 한번 확인해 보세요!

 

 

MSCI지수 대한민국 편입관련 포스팅 썸네일

 

 

 


MSCI 지수란?

 

MSCI 지수는 미국의 금융 서비스 회사 MSCI Inc.에서 발표하는 글로벌 주가지수입니다. 전 세계 주식시장을 국가별·지역별로 나누어 분류하며, ETF나 연기금,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의 투자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각국의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기준이 되기 때문에 국가 신용도나 외환 유치면에서 해당 지수 편입은 아주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게됩니다. 

 

대표적인 MSCI 지수 종류

  • MSCI World Index: 선진국 주식 시장 지수
  • MSCI Emerging Markets Index (EM): 신흥국 주식 시장 지수
  • MSCI ACWI (All Country World Index): 전 세계 주식 시장 (선진국 + 신흥국)
  • MSCI Korea Index: 한국 증시만 반영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추천합니다.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줍니다. 

 

와이프 ₩IFE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Zc52q4xTFkw?si=hwQvhM25YU8DdabR

 

 

MSCI지수 설명 영상 썸네일

 


MSCI 신흥국 지수 내 한국 기업 편입 현황

 

현재 한국은 MSCI의 신흥국(EM) 지수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항목 내용
편입 지수 MSCI Emerging Markets Index
대표 편입 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등
한국 비중 EM 지수 내 약 11~14% (34위 수준)
정기 변경 시기 매년 5월, 11월

 

참고: 한국 증시는 세계 시장에서 성숙도나 시가총액 측면에서는 선진국과 맞먹지만, 외환 규제와 시장 접근성 제한 등으로 인해 신흥국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MCI 지수는 매년 2차례 정기 변경을 하는데요!

지수에 편입된 기업들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리밸런싱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기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리밸런싱에 편입되고 편출되는 상황이

해당 기업의 호재와 악재로 판단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삼양과 엔씨소프트를 들 수 있겠습니다. 

 

지수 편입에 대해서 알아보고 투자 방향을 잡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 영상을 꼭 한번 보셔야 됩니다. 

 

한경코리아마켓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knagSa4kXX4?si=wj-CVcN-9g5xM9SE

 

 

MSCI지수 편입 주가 영상 썸네일

 


신흥국 지수 vs 선진국 지수 비교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 지수에 편입하지 못했다는 것은 다소 의아한 부분인데요! 아마도 자본시장의 개방이나 신뢰도 면에서 부족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이것 역시 고려해보야할 사항이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겠죠!

 

구분 MSCI 신흥국 지수 MSCI 선진국 지수
포함 국가 한국, 중국, 인도, 브라질, 타이완 등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투자 특성 성장성 높지만 변동성 큼 안정적 수익, 낮은 변동성
편입 기준 외환시장 자유도, 외국인 투자 제한 여부 자본시장 개방성, 거래 투명성
대표 지수 MSCI EM Index MSCI World Index, MSCI EAFE Index

 

우리나라는 GDP나 기업 경쟁력 면에서는 선진국이지만, 외환 거래 제한, 공매도 제한, 거래소의 외국인 투자 비우호성 등이 MSCI의 판단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선진국 지수 편입이 보류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 경과

 

우리나라도 지수 편입을 위해서 노력을 해왔는데요! 그간의 추진 경과로 간략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도 내용
2008년 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 시작
2022년~2023년 외환시장 개방 확대, 연장 거래 도입 등 개혁 진행
2024년 MSCI, 한국의 개혁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여전히 개선 필요” 판단
2025년 현재 선진국 지수 편입은 보류 상태 유지

 

정부는 MSCI 지수 승격을 위해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규제 완화, 외환시장 운영 시간 연장 등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지만, MSCI의 조건은 까다롭고 보수적입니다.

 

 

 


마무리 요약

 

MSCI 지수는 글로벌 투자 기준점으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은 현재 MSCI 신흥국 지수에 포함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런데 선진국 지수 편입은 한국 자본시장의 국제화 정도에 달려 있으며, 아직 외환 자유화, 외국인 접근성 등의 기준에 미치지 못해 보류된 상태입니다.

 

정부의 제도 개선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경우, 향후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 금융시장의 보호를 위해서 제한을 하는 만큼 단순 지수 편입을 위해서 대대적인 자본시장 제도를 바꾸는 것은 고려해보야할 문제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투자] - 유럽지수 STOXX Europe 600 완벽 분석 (국내외 ETF 포함)

 

유럽지수 STOXX Europe 600 완벽 분석 (국내외 ETF 포함)

유럽 증시에 투자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시다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지표가 바로 STOXX Europe 600(스톡스 유럽 600) 지수입니다. 이 지수는 유럽 주요국 17개 국가의 대표 기

출처:jtvc_news.com

 

[투자] - 바나듐 배터리(VRFB)란? 장점, 원리, 관련주 종목까지 총정리

 

바나듐 배터리(VRFB)란? 장점, 원리, 관련주 종목까지 총정리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저장 기술로 바나듐 레독스 흐름 배터리(VRFB)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산 정책과

출처:jtvc_news.com

 

[투자] - 워렌버핏이 선택한 일본 5대 종합상사와 정의, 역사 (미쓰비시상사)

 

워렌버핏이 선택한 일본 5대 종합상사와 정의, 역사 (미쓰비시상사)

2020년,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가 일본의 5대 종합상사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렸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그의 투자 방향은 유효하

출처:jtvc_new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