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유동성(Liquidity) 개념 총정리: 투자 필수 용어, LP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by 대한민국의 2025. 5. 15.

유동성(Liquidity) 개념은 투자 시 필수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용어의 원래의 뜻는 액체처럼 흐르다는 뜻이 있는데 왜 경제 용어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우리의 자산은 흘러간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도 한데요!

 

단순하지만, 다소 혼란스러운 개념을 가지고 있는 유동성에 대해서 아주 다양한 범위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포스팅 중간에 이해를 돕기위해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꼭 한번 참고해 보세요!

 

 

유성동의 개념과 유래 관련 포스팅 썸네일

 


유동성의 정의

 

"얼마나 쉽게 자산을 현금화할 수 있는가"

유동성(Liquidity)’은 경제와 금융에서 매우 중요한 용어입니다. 간단히 말해, 유동성이 높다는 것은 자산이 쉽게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은 현금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간단하지만 무슨 말이지 잘 모르겠죠? 그래서 그 어원과 유래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유동성’이라는 용어는 왜 생겼을까?

 

어원: 액체처럼 ‘흐르는’ 성질에서 유래

 

‘Liquidity’는 라틴어 ‘Liquidus(액체의)’에서 나왔습니다. 물처럼 흐르는 성질을 본떠 자산이 얼마나 쉽게 이동(거래)할 수 있는가’를 표현하기 위한 단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실제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 현금은 어디든 '흐를 수 있는 자산' → 즉시 사용 가능
  • 주식은 어느 정도 유동성 존재 → 거래는 가능하지만 약간의 시간 필요
  • 부동산은 저유동성 자산 → 거래에 많은 시간과 절차 필요

이처럼 자산의 유동성은 얼마나 ‘액체처럼 흘러가며’ 거래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이제 유동성의 공급의 의미는

자본시장에 돈을 푼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자본의 흐름에는 다양하게 파생되는

용어들도 있죠!

 

몇해전까지 미국은 테이퍼링이라는

공급 축소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양적완화와 다른 테이퍼링은 무엇인지

경제 상식으로 공부해 볼까요?

 

만화로 보는 맨큐의 경제학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RYpxERYNWio?si=Qe7sJWc21yZ00YbB

 

 

유동성 축소 테이퍼링 영상 썸네일

 


경제에서 말하는 유동성의 3가지 개념

 

구분 의미
자산 유동성 자산을 얼마나 빠르고 손실 없이 현금화할 수 있는가
 시장 유동성 거래할 때 가격 변동 없이 쉽게 거래가 가능한가
자금 유동성 시장 내에 현금성 자산이 얼마나 풍부하게 존재하는가

 

이 세 가지 모두 투자자, 정책 결정자, 기업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유동성이 중요한 이유

 

▶ 급전 필요 시 손실 최소화 가능

유동성이 높은 자산은 위기 상황에서 현금화가 용이

 

시장 변동성 안정

유동성이 높으면 시장 가격이 갑자기 출렁이지 않음

 

정책 유연성 확보

중앙은행은 유동성을 조절하여 금리와 물가를 관리함

 

 

이러한 중요한 개념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LP(유동성 공급자)입니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유동성의 공급은 시중에 돈을 푼다는 것이고

돈을 풀면 경제활동이 활발해 진다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시중에 돈을 풀었지만(정부나 은행에서..)

정작 실물 경제에서는 돈이 돌지 않는 현상이 있는데요!

 

이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아래의 영상에서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만화로 보는 맨큐의 경제학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tZM6IqEXopY?si=wgVSEaCYJG3F2oqL

 

 

유동성 함정 영상 썸네일

 

 


LP(Liquidity Provider, 유동성 공급자)란?

 

LP’는 시장에서 자산을 제공해 유동성을 만들어주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투자자가 자산을 사고팔 수 있도록 거래 가능한 호가(가격)를 미리 제시하는 역할을 하죠.

 

 

전통 금융에서의 LP(증권사, 은행)

  • 증권사, 은행 등이 시장에서 마켓메이커로 활동하며 유동성 공급
  • 주식/채권/외환 시장 등에서 호가창 유지를 통해 매수-매도 간극 최소화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LP(개인투자자)

  • DEX(탈중앙화 거래소)에서는 개인도 LP가 될 수 있습니다.
  • 예: 유니스왑(Uniswap)에서 ETH/USDT 유동성 풀에 자금을 예치
  • 수수료 수익LP 토큰 보상을 받으며 유동성 공급 역할 

 

 

 


정리 요약

 

항목 설명
유동성 정의 자산을 얼마나 쉽게, 손실 없이 현금화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
어원 의미 물처럼 흐르는 성질에서 유래 – 자유롭게 거래되는 자산
투자 중요성 매도 손실 방지, 시장 가격 안정화, 위기 대응
LP의 개념 시장에서 유동성을 제공해 거래 활성화 및 수수료 수익을 창출하는 주체

 

 

 


📢 함께 보면 좋은 글

 

[투자] - 미국 경제지표 PCE(개인소비지출)·GDP·고용지표 경기, 금리 예측

 

미국 경제지표 PCE(개인소비지출)·GDP·고용지표 경기, 금리 예측

미국 경제를 읽고 예측하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3가지 핵심 경제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개인소비지출(PCE), 국내총생산(GDP), 고용지표인데요. 우리는 경제 뉴스에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출처:jtvc_news.com

 

[투자] - 국제유가 3대 지표 비교: 서부텍사스유·브렌트유·두바이유 차이 완벽 정리

 

국제유가 3대 지표 비교: 서부텍사스유·브렌트유·두바이유 차이 완벽 정리

국제유가는 단일 기준이 아닌 WTI(서부텍사스산 원유), Brent(브렌트유), Dubai(두바이유) 세 가지를 대표 지표로 사용합니다. 이들은 생산지, 품질, 거래시장, 수송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출처:jtvc_news.com

 

[투자] - 소금배터리 혁신! 2세대 나트륨이온 전지 기술과 전기차 시장 전망 분석

 

소금배터리 혁신! 2세대 나트륨이온 전지 기술과 전기차 시장 전망 분석

중국 CATL과 낙스트라가 2세대 나트륨이온 배터리 개발에 성공하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저비용·고안정성의 소금배터리로 불리는 나트륨이온전지는 리튬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중

출처:jtvc_news.com

 

 

 

 

 

#유동성이란 #Liquidity개념 #유동성공급자 #LP정의 #현금유동성 #시장유동성 #자산유동성 #마켓메이커 #DEX투자 #DeFi유동성공급 #암호화폐LP #투자용어정리 #경제용어설명 #금융기초개념 #재테크기초 #현금화쉬운자산 #주식시장유동성 #금융지식공유 #유동성위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