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글로벌 가치사슬(GVC) 개념과 후방참여율 완벽 설명 (한국 무역 상황)

by 대한민국의 2025. 5. 18.

 

한 국가의 무역 (수출과 수입)을 이야기 할때 글로벌 가치사슬(GVC)와 후방참여율에 대해서 설명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을 일반인들이 알리 만무하지만, 쓰이고 있다는 것!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지만, 이 두 용어에 대해서 간략하고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포스팅 중간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으니 꼭 한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글로벌 가치사슬 후방참여율 관련 포스팅 썸네일

 

 

먼저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겠습니다. 후방참여율이란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고 거래하는데 여러국가의 조립과 공급, 생산이 관련되는 정도이고 이는 GVC이라는 개념 아래에서 이루어 지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가치사슬(GVC)이란?

 

GVC(Global Value Chain)란, 하나의 완제품이 생산되기까지 여러 국가에 걸쳐 부품·소재 공급, 조립, 테스트, 마케팅, 유통 등 각 생산 과정이 분절적으로 분담되어 연결되는 국제적 생산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 스마트폰이 한국에서 설계되고, 일본에서 부품을 만들고, 베트남에서 조립되어 미국에서 판매된다면 이 모든 과정을 연결하는 것이 글로벌 가치사슬(GVC)입니다.

 

GVC의 핵심 특징

  • 분업화된 생산 구조 : 국가별 비교우위에 따라 생산단계 분할
  • 중간재 무역 중심 : 완제품보다는 부품과 소재의 교역이 중심
  • 상호의존성 심화 : 하나의 국가 공급망 문제로 전체 생산 차질 가능
  • 고 부가가치 분포 : 브랜드, 기술, 설계는 선진국에, 조립 등은 개발도상국에 분포

 


좀더 쉽게 알아볼 수 있게 

유튜브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이 영상하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sZbLGgSjtbM?si=t7qLdCUuXQ-2_uYk

 

 

글로벌 가치사슬 설명 영상

 


 

GVC 후방참여율이란?

 

후방참여율(Backward Participation Rate)은 한 국가가 자국의 수출을 위해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한 중간재(부품·소재 등)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우리 수출품 안에 외국산 부가가치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느냐’를 보여주는 지수입니다.

 

후방참여율 계산 방식

 

후방참여율 (%) = (수출에 포함된 외국산 부가가치 / 총 수출액) × 100

 

예시

  • 한국의 총 수출액: 1,000억 원
  • 이 중 외국산 부품이 포함된 수출 가치: 300억 원
  • 후방참여율 = (300 ÷ 1000) × 100 = 30%

 

후방참여율의 해석

 

구분 설명
높은 후방참여율 외국 중간재에 의존해 수출하는 산업구조 (예: 조립산업 중심국가)
낮은 후방참여율 국내에서 대부분 부가가치가 창출됨 (자체 기술·소재 중심 산업)

 

해석적인 의미

  • 높은 후방참여율공급망 충격에 취약하다는 의미
  • 낮은 후방참여율기술력 기반의 자립형 산업 구조를 반영

 


챗GPT로 1년 동안 공짜 햄버거를

먹었다고 하는데요!

궁금하지 않으세요?

 

SBS news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TE1qhexA7ck?si=TL_jYwTnb6vcwINH

 

 

챗GPT 활용 영상

 


왜 후방참여율이 중요한가?

 

항목 이유
국가 경쟁력 분석 수출의 질과 산업 구조를 평가 가능
무역정책 수립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국산화 전략 수립 필요
공급망 리스크 관리 글로벌 충격(전쟁, 팬데믹)에 대한 민감도 파악
산업 고도화 방향 제시 GVC 내 위치를 기술 중심국으로 이동 가능 여부 검토

 

 

 

한국의 후방참여율

 

한국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업 중심 국가로서 약 30% 내외의 후방참여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더 높았으나, 소재·부품의 국산화와 고부가가치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핵심 소재는 수입 의존도가 높아,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한국의 GVC 후방참여율: 변화 흐름

  • 2000년대 초반: 35~38%
  • 2010년대 중후반: 30% 이하로 감소
  • 이유: 부품·소재 국산화, 반도체 등 고부가 산업 성장

하지만 여전히 자동차 부품, 디스플레이 소재, 일부 화학제품은 수입 의존도가 높아 GVC 후방참여율 유지 중.

 

 

 


 

#GVC #글로벌가치사슬 #후방참여율 #수출중간재 #무역의존도 #산업구조분석 #공급망리스크 #국제분업 #가치사슬참여도 #무역지표해석 #부가가치무역 #중간재무역 #수입중간재 #무역통계지표 #산업고도화전략 #GVC참여율 #글로벌공급망 #공급망분절화 #무역정책수립 #한국산업구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