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는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고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제도들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사이드카(Sidecar)와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인데요. 두 제도는 시장이 과열되거나 급락할 때 자동으로 작동되는 장치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적용 대상, 발령 조건, 정지 시간, 목적 등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개념부터 구체적인 작동 방식과 실제 사례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포스팅 중간에 이해를 돕기위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꼭 한번 확인해보세요!
1. 사이드카란?
사이드카(Sidecar)는 선물시장 가격 변동이 현물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즉, 선물 가격의 급등락이 주식시장으로 급속히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발령 조건
-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전일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할 경우
- 프로그램 매매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될 때
◈ 작동 방식
- 프로그램 매매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이 5분간 정지
- 호가 접수는 가능하지만 체결되지 않음
- 1일 1회만 발령 가능
◈ 주요 목적
- 선물시장의 급변이 주식시장에 충격을 주는 것을 예방
- 프로그램 매매로 인한 시장 왜곡을 차단
◈ 발령 사례
- 2020년 3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증시 폭락 시 수차례 발령
영상이 이해하기 쉽겠죠!
개념정리가 잘 되어 있는
유튜브 영상 공유 합니다.
꼭 한번 보세요!
https://youtu.be/OSpQ3M2MS-Y?si=nckFdCQ20hJ_0avm
2. 서킷브레이커란?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시장 전체가 과도하게 하락할 경우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시켜, 시장에 진정할 시간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패닉 매도를 막고 주식시장의 질서를 회복시키고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발령 조건 (코스피 기준)
단계 | 지수 하락률 | 정지 시간 | 비고 |
1단계 | -8% | 20분 | 장 개시 5분 후~40분 전 가능 |
2단계 | -15% | 20분 | 1단계 종료 후 추가 하락 시 |
3단계 | -20% | 장 종료 | 해당일 거래 종료 |
※ 코스닥 및 코넥스도 유사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 작동 방식
- 주식시장 전체 거래가 정지
- 각 단계별로 하루 1회까지만 발령 가능
- 정지 후 재개 시 단일가 매매 10분간 적용
◈ 주요 목적
- 시장이 급락할 때 투자자 심리의 안정을 유도
- 거래 중단을 통해 과도한 손실과 공포 매도 방지
◈ 발령 사례
- 2020년 3월 13일: 코로나19로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서킷브레이커 발동, 주식시장 전면 정지
최근 서킷브레이커 발령 관련 영상입니다.
꼭 한번 보셔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RkK-BOiV-sA?si=4I8cbNebfo5WAsl1
3.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차이점 요약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매에 국한된 제한 조치이며, 서킷브레이커는 시장 전체 거래 중단 조치입니다.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의 영향 억제, 서킷브레이커는 시장 전반의 공포 심리 제어라는 점에서 대상과 목적이 다릅니다.
구분 | 사이드카 | 서킷브레이커 |
적용 대상 | 선물시장 → 주식시장 | 전체 주식시장 |
발령 조건 | 선물 가격 ±5% 변동 | 지수 하락 -8%, -15%, -20% |
작동 방식 | 프로그램 매매 5분 정지 | 전체 거래소 20분 정지 또는 장 종료 |
발령 횟수 | 1일 1회 | 각 단계별 1일 1회 |
주요 목적 | 시장 충격 최소화 | 패닉 매도 방지, 투자자 보호 |
4. 왜 알아두어야 할까?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는 단순히 시장을 멈추는 장치가 아니라, 투자자 보호와 시장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특히 시장 급락이나 외부 충격이 클 때 이 제도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고 있다면, 패닉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우리나라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현황 및 실거래 시점
우리나라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현황 및 실거래 시점
오늘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 전환이 진행되면서 우리나라 한국은행도 CBDC 도입을
출처:jtvc_news.com
사모펀드의 경영권 개입 방식 (사례공개 : 공개매수와 위임장 대결)
사모펀드의 경영권 개입 방식 (사례공개 : 공개매수와 위임장 대결)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PE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비상장기업 또는 상장기업의 지분을 매입해 수익을 창출하는 금융기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기업
출처:jtvc_news.com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 및 주가에 미치는 영향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거나 주주 친화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수단 중 하나가 ‘증자(增資)’입니다. 증자는 말 그대로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두 가지 형태
출처:jtvc_new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