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사모펀드의 경영권 개입 방식 (사례공개 : 공개매수와 위임장 대결)

by 대한민국의 2025. 4. 16.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PE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비상장기업 또는 상장기업의 지분을 매입해 수익을 창출하는 금융기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기업 경영에 적극 개입하거나 구조조정 등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인 뒤, 매각(exit)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실현합니다.

 

특히 사모펀드는 경영권 확보를 목표로 할 때,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이 공개매수와 위임장 대결(proxy fight)입니다. 돈이 많은 개인투자자가 아니라면 사모펀드에 투자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궁금하기 합니다.

 

아래에서 두 방법을 실제 사례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포스팅 중간에 이해를 돕기위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으니 꼭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사모펀드 경영권 참여 포스팅 썸네일

 


1. 사모펀드의 경영권 개입 방식

 

1.1 공개매수(Tender Offer)

공개매수란 다수의 주주에게 일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매입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사모펀드는 단기간에 대량의 지분을 확보하여 경영권을 획득하거나 주요 주주로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KCGI의 한진칼 경영권 분쟁

  • KCGI(그레이스홀딩스)는 2018년부터 한진그룹 지주사인 한진칼의 지분을 시장에서 매입하며 적극적으로 경영 참여를 시도했습니다.
  • 2020년에는 강성부 펀드(KCGI), 반도건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연합해 한진칼 지분을 꾸준히 매입, 공개매수를 통해 경영권 위협을 가했습니다.
  • 이에 대응해 대한항공은 산업은행의 지원을 받아 지분을 늘리며 맞섰고, 결국 조원태 회장 측이 지분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 경영권을 수성했습니다.

 

▶ 공개매수 전략의 핵심

 


일반적으로 사모펀드라고하면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 혁신이라는

긍정적이 이미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사모펀드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영상을 추천합니다.

 

매일경제TV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t079zPMfofE?si=OzKcTaQsZtVgSNc8

사모펀드 설명 관련 영상 썸네일


 

 

1.2 위임장 대결(Proxy Fight)

위임장 대결이란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의결권을 위임받아 이사 선임 등 안건을 통과시키는 방식입니다. 사모펀드는 지분이 적더라도 다른 주주로부터 의결권을 위임받아 이사회 장악을 노리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 실제 사례 : 엘리엇 vs 삼성물산 합병 반대

  •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당시, 미국계 사모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삼성물산의 지분을 약 7% 보유한 상태에서합병 반대를 위한 위임장 대결을 시도했습니다.
  • 엘리엇은 "삼성물산 주주에게 불리한 합병"이라며 다른 주주들에게 의결권 위임을 요청, 합병안 부결을 추진했습니다.
  • 하지만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지면서 합병안이 통과되었고, 엘리엇은 손해를 입은 만큼 한국 정부를 상대로 투자자-국가 간 소송(ISD)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 위임장 대결 전략의 핵심

 


사모펀드는 개인의 자금을 모은 펀드인데요!

물론 일반적인 개인은 아니겠지요!

 

그런데 우리도 사모펀드 투자할 수 있다고합니다.

아래의 삼프로TV 영상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삼프로TV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3oEbn5ThpiM?si=8FAipzTrQqgLwM_-

개인 사모펀드 투자 방법 영상 썸네일

 

 

 


2. 공개매수 vs 위임장 대결

 

항목 공개매수 위임장 대결
필요 자금 매우 큼 비교적 적음
지분 확보 속도 빠름 느림
성공 조건 자금력, 지분 경쟁 우위 주주 설득, 의결권 확보
실제 적용 사례 한진칼 (KCGI vs 조원태) 삼성물산 (엘리엇 vs 삼성그룹)
리스크 가격 상승 리스크, 자금 조달 압박 의결권 확보 실패 가능성

 

 

 


3. 사모펀드의 전략은 상황에 따라 선택된다

 

사모펀드는 단순한 금융 투자자를 넘어 적극적인 경영 참여자로서 활동하며, 공개매수와 위임장 대결은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입니다.

  • 공개매수는 신속하고 직접적인 전략이지만 자금 부담이 크며,
  • 위임장 대결은 간접적이지만 전략적 설계와 주주 설득력이 요구됩니다.

최근에는 ESG 경영, 주주가치 제고라는 명분으로 적극적 경영 참여형 사모펀드(activist PE)가 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더욱 주목받을 것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 및 주가에 미치는 영향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 및 주가에 미치는 영향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거나 주주 친화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수단 중 하나가 ‘증자(增資)’입니다. 증자는 말 그대로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두 가지 형태

출처 : jtvc_news.com

 

- 우리나라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현황 및 실거래 시점

 

우리나라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현황 및 실거래 시점

오늘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 전환이 진행되면서 우리나라 한국은행도 CBDC 도입을

출처 : jtvc_news.com

 

- 미국 30년 만기 국채 투자 방법 (직접 거래 vs 한국 상장 ETF 비교 분석)

 

미국 30년 만기 국채 투자 방법 (직접 거래 vs 한국 상장 ETF 비교 분석)

미국 국채는 달러와 함께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가장 안전한 투자처 중 하나로 꼽힙니다. 특히, 미국 30년 만기 국채는 장기적인 수익 안정성과 확정 이자 수익으로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이번

출처 : jtvc_new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