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역할과 권한 총정리(FSC, FSS)

by 대한민국의 2025. 3. 19.

 

 

금융시장의 안정화와 경제 생활을 하는 국민들을 보호하는 행위는 금융당국에서 해야할 가장 중요한 업무입니다. 그리고 그 금융당국을 대표하는 기관이 우리나라에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입니다. 이러한 금융기관의 역할과 권한이 서로 다르지만 일반적인 국민이라면 비슷한 명칭때문에 정확한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차이점, 역할, 권한, 업무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두 기관을 혼동하지 마시고 뉴스나 정책을 확인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역할 차이 관련 포스팅 썸네일

 

 

결과적으로 말씀드리면 금융위원회는 법/제도/정책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감독아래에 실제 금융사와 소비자를 감독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1. 금융위원회(FSC)란? 역할 및 권한

 

1.1 금융위원회의 역할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을 총괄하는 우리나라 정부 기관으로, 금융시장 안정과 건전한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및 금융감독 업무를 지휘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금융과 관련한 최상위 기구로 금융감독원을 감독하는 역할도 합니다. 

1.2금융위원회의 주요 권한

  1. 금융 법령 제·개정 : 금융 관련 법률 및 규제(예: 「금융지주회사법」, 「은행법」 등) 제·개정 추진
  2. 금융회사 인·허가: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금융기관 설립·인가 및 주요 인수합병 승인
  3. 금융감독원 지휘·감독: 금융감독원의 감독 업무를 총괄하고 주요 사안을 심의·의결
  4. 금융시장 안정 조치: 주식시장 변동성 대응 및 유동성 위기 대응 조치
  5. 금융소비자 보호 정책 수립: 불공정 금융거래 규제 및 금융사기 예방

위와 같은 권한과 의무가 있고, 정리하자면 금융분야 최상위 행정조직으로 법령과 법률, 각종 인허가를 책임지는 역할로 총괄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제 금융소비자로써는 크게 관여되지 않는 편입니다. 

1.3 금융위원회의 업무 예시

  • 가상자산(암호화폐) 규제 정책 마련 
  •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은행 인가 승인
  • 공매도 제한 조치 및 금융시장 변동성 대응
  • 대규모 금융사고(라임·옵티머스펀드) 관련 제재 및 피해 구제 정책 결정

결과적으로 중요한 금융사고나 승인 등을 하기 때문에 우리같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뉴스에서 보게 되더라도 큰 관심을 가지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당사자라면 피해 구제와 같은 결정에는 간절해 질 수도 있겠죠!


긴 글 보다는 간편한 영상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추천합니다. 

 

MdiaVOP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Q4IL13qQ8uU?si=AeCuhlvPrCeuwL4A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차이 관련 영상 썸네일

 

 


 

2. 금융감독원(FSS)이란? 역할 및 권한

 

2.1 금융감독원의 역할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감독 아래에서 실제 금융기관(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을 검사·감독하고, 금융소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그래서 어떤 금융사고나 사건에 대해서 범죄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주요 업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뉴스의 사회면에서 주로 볼 수 있죠! 아주 이슈가 큰 금융 사건을 다루기도 하고 검찰에 고발하기도 합니다. 약간의 사법권한을 가진다고 예상할 수 있지만, 사법기관은 아닙니다. 

2.2 금융감독원의 주요 권한

  1. 금융기관 검사 및 감독: 금융회사의 건전성 및 규제 준수 여부 점검
  2. 금융 범죄 조사 및 제재: 불공정거래, 내부자 거래, 보이스피싱 등의 금융사기 적발
  3. 금융소비자 보호 및 분쟁 조정: 금융 피해자 구제 및 민원 해결
  4. 공시 및 회계 감리: 기업의 회계 부정 및 분식회계 여부 점검
  5. 신용정보 관리 감독: 개인 및 기업 신용정보의 적정성 감독

큰 기업회계 사건이나 주가조작 같은 사건을 조사하는 역할로 뉴스에 많이 등장하죠!

2.3 금융감독원의 업무 예시

  • 은행 대출 규정 위반 적발 및 과징금 부과
  • 내부자 거래, 시세조종 등 증권 범죄 적발 및 검찰 고발
  • DLF(파생결합펀드) 피해자 배상 권고
  •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부정 사건 조사 및 처분

위와 같은 사건 사고는 지금까지 많아왔기 때문에 앞으로도 금융감독원의 역할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이바지하기 위해서 중요성이 많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3. 금융위원회 vs 금융감독원 비교

 

자! 이제 아주 간단한 표를 통해서 두 기관을 비교해 볼까요? 언듯 보면 비슷한 일을 하는 것같아도, 서로 견제하기 보다는 금융위원회 아래에 금융감독원이 실무를 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구분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역할 금융 정책 수립 및 감독 방향 설정 금융기관 검사 및 소비자 보호
법적 지위 정부 부처(행정기관) 공공기관(정부 산하 기관)
주요 업무 법·제도 개정, 금융회사 인허가, 금융시장 안정 조치 금융기관 검사·감독, 금융 범죄 조사, 소비자 보호
제재 권한 금융회사 및 고위 임원에 대한 중대한 제재 결정 금융기관 및 직원에 대한 조사·경고·과태료 부과
주요 사례 공매도 금지 정책 결정, 인터넷은행 인가 승인 DLF 사태 관련 은행 제재, 보이스피싱 조직 적발

 

정리하자면 금융위원회는 정책 및 법률을 만들고, 금융감독원은 이를 실행하며 금융기관을 검사·감독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바로 아래서 보다 간단히 정리해 볼께요!

 


 

 

4. 결론

 

우리나라의 금융에 대한 행정 및 감독 체계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상호 협력하여 운영됩니다.

 

금융위원회(FSC): 금융 정책 수립, 법·제도 개정, 금융사 인허가 및 시장 안정 조치 담당

금융감독원(FSS): 금융기관 검사·감독, 금융 범죄 조사, 금융소비자 보호 및 분쟁 조정 담당

금융과 관련된 행정기관은 금융소비자 보호와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두 기관이 긴밀한 협조 아래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더 신뢰성 있고 투명한 금융시스템 유지를 위해서 굉장히 중요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금융] - 연금계좌 이중과세와 개정안 시행령 (IRP 연금저축 ISA제외)

[금융] -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 신청방법, 조건, 상품 (조기수령, 대출)

[금융] - 국민연금 조기수령 감액 조건과 방법 (노령연금 조기수령 정지사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