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법인카드 사용금지 항목, 취소사례 총정리 (올바른 접대비 사용법)

by 대한민국의 2025. 4. 4.

 

 

법인카드는 기업의 경비를 투명하게 처리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그런데 그 사용 목적과 증빙이 불분명하면 세무조사, 과세처분, 심지어 형사 책임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법적규정에 맞게 사용해야하는데 자신도 모르게 불분명하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법인카드로 사용하면 안 되는 항목, 올바른 법인카드 사용법,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법인카드로 접대비 사용방법에 대해서 회계사가 설명하는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체포 종류및 절차 관련 포스팅 썸네일

 

 

 

1. 법인카드 사용금지 항목 (절대 사용하면 안 되는 7가지)

 

법인카드는 반드시 업무 관련 비용에 한정되어야 하며, 개인적 목적의 사용은 불법입니다. 다음 항목은 세법상 손금(비용) 처리도 불가능합니다.

 

◈ 사적 지출 (개인 소비)

  • 개인 쇼핑, 가족 외식, 개인용 의류 등
  • 예시: 직원이 가족 생일파티 식사비를 법인카드로 결제 → 업무 관련성 없음

 

◈  주거 및 생활비

 

◈  유흥 및 오락비

 

◈  고가 사치품 구매

  • 명품 브랜드 시계, 가방, 의류 등
  • 정당한 증빙과 업무 목적이 없다면 과세 위험

 

◈  세금, 벌금, 과태료

 

◈  개인 또는 제3자 명의 사용

  • 가족, 친구 등이 법인카드 사용 시 명백한 위법

 

◈  기부금, 종교 헌금 등

  • 세법상 제한적으로만 인정, 대부분 비용 처리 불가

 


법인카드 사용 범위와 사적 범위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국세청 관점에서 알려드리고 있으니 꼭 한번 확인해 보세요

 

경제인회계인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s5bW_vyyZjw?si=qi6qoJigej7MOSGp

법인카드 사용범위과 국세청 관련 영상 썸네일


 

 

2. 근로자의 올바른 법인카드 사용법

 

법인카드를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아래 5가지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업무 관련성 명확히 하기

  • 출장비, 회의비, 접대비, 사무용품 구입 등에 사용
  • 예: 거래처 미팅 시 식사 비용

 

◈  증빙자료 철저히 확보

  • 세금계산서 또는 현금영수증 필수
  • 카드 전표만 있으면 비용처리 불가 가능성 있음

 

◈  지출 메모 또는 사내 보고

  • “2025.03.10 회의비 – B고객 미팅” 등 간단한 메모 필수

 

◈  사적·업무 지출 분리

  • 회식 중 가족 동반비용 등은 개인 결제

 

◈  회사 내 규정 숙지

  • 부서별 한도, 승인 절차 등 내부 규정 준수

 


법카 오사용 사례를 알아보기 전에

상품권, 접대비 사용 규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함부로 사용했다면 이 영상 꼭 보셔야합니다. 

 

가인지TV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U2A4gATlkzI?si=szirrAIRQeVMIcMS

법인카드 접대비 상품권 사용관련 영상 썸네일

 


 

 

3. 실제 사례로 보는 법인카드 사용의 주의점

 

사례 ①: 유흥비 사용 → 대표이사에게 소득세 과세

  • 상황: A사의 대표가 유흥업소에서 법인카드로 1천만 원 이상 사용
  • 결과: 국세청은 이를 업무 관련성이 없는 사적 소비로 판단, 대표의 상여소득으로 간주 → 종합소득세 추가 과세 및 가산세 부과

 

사례 ②: 개인 의류 구매 → 비용 불인정

  • 상황: B기업 직원이 법인카드로 고급 브랜드 옷 구입
  • 결과: 업무 연관성 입증 실패 → 비용처리 불가, 직원 징계 및 내부 통제 강화

 

사례 ③: 사무용품 구입 후 세금계산서 미수령

  • 상황: 사무용품을 온라인몰에서 구입했으나 세금계산서 발급 누락
  • 결과: 단순 카드전표만으로는 비용 인정되지 않아, 법인세 손금에서 제외됨

 

 

📢 함께 보면 좋은 글

[금융] - 누진세, 비례세, 역진세의 차이점과 예시 (소득세, 전기세, 부가세)

[금융] - 계약 위약금, 해약금, 손해배상금 소득세 납부? (이자소득, 기타소득)

[금융] - 개인회생과 개인파산의 차이점 및 신청자격 (신용불량자, 파산단점)

댓글